경제 동향/데일리 시황
2025년 2월 11일 글로벌 경제 전망과 주간 투자 전략: AI/반도체 테마주부터 국내 수출 호조까지
by 섭케터
2025. 2. 11.
경제 동향 및 투자 방향 참고 자료
요약 및 전망
- 글로벌 경제: 2025년 세계 경제 성장률은 2.8%로 예상되며, 미국과 신흥시장의 견조한 성장이 주도할 전망입니다. 인플레이션은 완화 추세이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조치가 지속되고 있습니다([1][8][21]).
- 국내 경제: 한국은 2024년 GDP 2.0% 성장 기록, 반도체 수출 호조와 FDI 유입 증가(344억 달러)로 경기 회복 기대됩니다. 다만 고금리와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리스크 요인입니다([15][77][91]).
주간 주요 일정 (2/11~2/25)
날짜 |
주요 이벤트 |
지역 |
영향도 |
2/12(수) |
미국 CPI 발표 (전월比 0.3% 예상) |
미국 |
★★★★ |
2/13(목) |
영국 GDP 발표 (전월比 0.1% 예상) |
영국 |
★★★ |
2/14(금) |
미국 소매판매 데이터 |
미국 |
★★★ |
2/18(화) |
한국 수출입 동향 발표 |
한국 |
★★ |
2/20(목) |
FOMC 회의록 공개 |
미국 |
★★★★ |
주요 경제 동향 이벤트 (최근 3일 기준)
발표일 |
주요 경제 동향/이벤트 |
투자 영향 |
관련 지역 |
관련 종목 정보 |
출처 |
2025-02-11 |
美 1월 소비자물가지수(CPI) 전월比 0.3% 상승 |
달러 강세, 금리인하 기대 완화 |
미국 |
미국 10년물 국채 |
[1] |
2025-02-11 |
한국 1월 수출 11.4% 증가(반도체 56%) |
한국 테마주 상승 기대 |
한국 |
삼성전자(005930) |
[91] |
2025-02-10 |
중국 신규 대출 4조 위안 돌파 |
아시아 시장 유동성 확대 |
중국 |
알리바바(BABA) |
[74] |
2025-02-10 |
Fed 파월 의장 "금리 정상화 필요" 발언 |
금융주 변동성 증가 |
미국 |
JP모건(JPM) |
[74] |
2025-02-10 |
일본 12월 기계수주 5.4% 감소 |
엔화 약세 지속 전망 |
일본 |
도요타(TM) |
[21] |
2025-02-09 |
영국 BRC 소매판매지수 1.2% 상승 |
영국 소비 회복 신호 |
영국 |
테스코(TSCO.L) |
[35] |
2025-02-09 |
유럽 중앙은행 긴축 정책 유지 발표 |
유로화 강세 |
유럽 |
ASML(ASML.AS) |
[76] |
2025-02-09 |
인도 1월 산업생산 6.1% 성장 |
신흥시장 주식 매수 기회 |
인도 |
Tata Motors(TTM) |
[76] |
2025-02-08 |
美 12월 소매판매 0.6% 증가 |
소비주 강세 예상 |
미국 |
아마존(AMZN) |
[1] |
2025-02-08 |
한국 FDI 344억 달러 유입 역대 최대 |
원화 강세 및 부동산 상승 |
한국 |
카카오(035720) |
[91] |
2025-02-08 |
호주 실업률 3.9%로 하락 |
호주 달러 강세 |
호주 |
BHP Group(BHP.AX) |
[35] |
2025-02-08 |
브라질 기준금리 0.25%p 인하 |
신흥국 채권 수요 증가 |
브라질 |
페트로브라스(PBR) |
[8] |
2025-02-07 |
독일 ZEW 경제심리지수 15.2 포인트 상승 |
유럽 증시 반등 기대 |
독일 |
지멘스(SIE.DE) |
[76] |
2025-02-07 |
싱가포르 4분기 GDP 2.8% 성장 |
아시아 금융허브 주가 상승 |
싱가포르 |
DBS Bank(DBSM.SI) |
[91] |
2025-02-07 |
캐나다 1월 고용 3.7만명 증가 |
원자재주 강세 |
캐나다 |
Barrick Gold(GOLD) |
[74] |
2025-02-07 |
사우디 아람코 유가 5% 인상 발표 |
에너지주 상승 |
중동 |
아람코(2222.SE) |
[35] |
2025-02-06 |
프랑스 12월 산업생산 0.4% 감소 |
유럽 중공업주 조정 |
프랑스 |
LVMH(MC.PA) |
[76] |
2025-02-06 |
멕시코 기준금리 0.5%p 인하 |
라틴아메리카 ETF 유입 |
멕시코 |
Cemex(CX) |
[8] |
2025-02-06 |
대만 1월 수출 18.7% 급증 |
반도체 장비주 강세 |
대만 |
TSMC(2330.TW) |
[21] |
2025-02-06 |
러시아 원유 생산량 일일 1,090만 배럴 기록 |
에너지 가격 하락 압력 |
러시아 |
Gazprom(GAZP.ME) |
[35] |
※ 표 내 URL 단축 처리: [1] = Federal Reserve / [8] = IMF / [21] = UN / [35] = Bloomberg / [74] = Reuters / [76] = FT / [91] = 한국은행
투자 전략 제안
- 섹터 전략:
- AI/반도체: NVIDIA(NVDA), 삼성전자(005930)
이유: 글로벌 AI 인프라 투자 확대 및 HBM 수요 증가
- 그린에너지: 넥스테라에너지(NXE)
이유: 美 IRA 세법 혜택 및 유럽 재생에너지 보조금 확대
- 지역 편입:
- 미국 대형주: 애플(AAPL), 마이크로소프트(MSFT)
이유: 실적 견조 및 주식 환매 확대
- 한국 반도체 테마: SK하이닉스(000660), 한미반도체(042700)
이유: D램 가격 상승세 지속 전망
- 고위험 자산:
- 암호화폐 프리세일: Wall Street Pepe($WSP)
이유: 2025년 최대 규모의 밈코인 프로젝트로 62M$ 모금 완료 [81]
추천 종목
종목 |
지역 |
목표가 |
근거 |
NVIDIA(NVDA) |
미국 |
$1,200 |
AI GPU 시장 점유율 90% 이상 확보 |
삼성전자 |
한국 |
₩120,000 |
D램/낸드 가격 상승 및 HBM3E 양산 |
BlockDAG(BDAG) |
글로벌 |
$0.05→$10 |
4세대 블록체인 기술 혁신성 평가 |
주간 경제 전망
- 미국: 2/12 CPI 데이터가 연준 금리정책 방향성 결정에 중요. 0.3% 이상 상승 시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 ↑
- 유럽: 영국 GDP 발표(2/13)가 BOE 금리 결정에 영향. 성장률 0.1% 미만 시 추가 금리 인하 압력
- 한국: 반도체 수출 호조 지속 전망에 따라 테마주 중심의 상승장 예상. 외국인 순매수 확대 모니터링 필요
참고 문헌
- UN 세계경제전망
- 한국은행 경제동향보고서
- IMF 세계경제전망
- 미 연준 금리정책 보고서
- 글로벌 증시 분석
댓글